SISS/FTZ

FTZ Trainer 1 , 2


<< FTZ Trainer 1, 2 >>



- trainer 1


 login as: trainer1

 trainer1@ftz.hackerschool.org's password: welcome

 (패스워드를 칠 때 눈에 보이지 않으니 틀리지 않고 칠 수 있도록!)


 리눅스의 프롬프트 : [trainer1@ftz trainer1]$  

     접속 ID  서버현재위치


 윈도우의 명령 프롬프트(cmd)의 프롬프트 : C:\Users\Desktop

 현재위치


 윈도우의 프롬프트랑 비슷하지만 리눅스의 프롬프트는 접속ID@서버 현재위치 로 나타내어진다. 

 


  ls 명령 : 현재 위치에 있는 파일과 디렉토리를 보여준다. 

(리눅스는 대소문자를 구분하니 소문자로 정확하게 쓰도록 하자!)


① [trainer1@ftz trainer1]$ ls

    addhtrml     public_html     sh.c      t1.txt    t3.txt    t5.txt    t7.txt    tmp

    addhtml.c   sh             start.txt  t2.txt    t4.txt    t6.txt    t8.txt


☞ ls 명령만으로는 어떤 것이 파일이고 어떤 것이 디렉토리인지 확실하게 알 수 없다. 



② [trainer1@ftz trainer1]$ ls -l 



-l 옵션은 디렉토리와 파일을 구분하여 출력해주는 동시에 파일과 디렉토리의 모든 정보를 같이 출력해주는 옵션이다. 

이제 디렉토리와 파일을 구분해보자. 


-rw-rw-r--    1  trainer1  trainer1  779    9월    24    18 : 37  start.txt

drwxr-xr-x     2  trainer1  trainer1  1024   9월    24    11 : 52  tmp


     파일의 성격/Permission에 관한 정보  링크 수 소유자명 그룹명  용량  생성된 날짜  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이름

                 (Permission에 관한 정보는 training9 에서)

   

     ▶ -rw-rw-r--  맨 앞 부분이 - : 파일               drwxr-xr-x   맨 앞 부분이 d : 디렉토리 (directory)



     ③ [trainer1@ftz trainer1]$ ls -a


이제 파일과 디렉토리를 구분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. 이번엔 현재 위치에 숨겨진 파일들을 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. 

리눅스에서는 설정 파일 등의 중요한 파일은 보이지 않고 숨겨진 상태로 저장되어 있다. 


-a 옵션은 숨겨진 파일과 디렉토리를 출력해주는 옵션이다. 숨겨진 파일과 디렉토리들은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이름 앞에 . 이 붙어있다. 


    


    ☞ ls 명령만 입력했을 때 출력되는 파일과 디렉토리보다 더 많은 파일과 디렉토리가 출력되었다. 

       하지만 어떤 것이 파일이고 어떤 것이 디렉토리인지는 알 수 없다.  



    ④ [trainer1@ftz trainer1]$ ls -al


    위에 출력된 파일과 디렉토리들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-l 옵션을 같이 써주면 된다. 

    -a : 숨겨진 파일/디렉토리를 출력     +     -l : 파일/디렉토리의 정보를 모두 출력    =   -al : 숨겨진 파일/디렉토리의 정보를 출력



이제 숨겨진 파일/디렉토리들의 모든 정보까지 출력되어 어떤 것이 파일이고 어떤 것이 디렉토리인지 구분할 수 있게 되었다. 




>> trainer1 정리

    ♬ ls       :  현재 위치에 있는 파일과 디렉토리의 이름을 출력

    ♬ ls -l    :  현재 위치에 있는 파일과 디렉토리의 정보를 모두 출력 → 파일과 디렉토리 구분 가능

    ♬ ls -a   :  현재 위치에 숨겨져 있는 파일과 디렉토리를 포함한 모든 파일/디렉토리의 이름을 출력

    ♬ ls -al  :  현재 위치에 숨겨져 있는 파일과 디렉토리의 모든 정보를 출력 → 파일과 디렉토리 구분 가능




- trainer 2


 login as: trainer2

 trainer2@ftz.hackerschool.org's password: linuxer

 

 pwd : 현재 있는 경로 출력 (윈도우에서 파일의 위치가 C:\Users\Desktop\SISS 이런 식으로 나타나듯이) 

 [trainer2@ftz trainer2]$ pwd 
 /home/trainer2 ← 현재 경로
 

 cd : 경로를 이동시키기 위한 명령어
cd .. : 상위 경로로 이동 (한 단계 위) * cd와 .. 사이를 한 칸 띄어주어야 함!
   [trainer2@ftz trainer2]$ cd ..
    [trainer2@ftz home]$ pwd
    /home
② cd (이동하고자 하는 디렉토리의 이름) : 하위 경로로 이동 (한 단계 밑)
   [trainer2@ftz home]$ cd trainer2
   [trainer2@ ftz trainer2]$ pwd
    /home/trainer2

      cd / : 최상위 경로로 이동  최상위 디렉토리 : / 

        [trainer2@ftz trainer2]$ cd /

        [trainer2@ftz /]$ pwd

        /



 mkdir (만들고자 하는 디렉토리 이름) : 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드는 명령어 (MaKe DIRectory)

 [trainer2@ftz trainer2]$ ls 

  t4.txt     t5.txt     t6.txt    t7.txt    t8.txt    t9.txt    tmp

 [trainer2@ftz trainer2]$ mkdir linuxer

 [trainer2@ftz trainer2]$ ls 

  linuxer    t4.txt    t5.txt    t6.txt    t7.txt    t8.txt    t9.txt    tmp



 rmdir (삭제하고자 하는 디렉토리 이름) : 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 (ReMove DIRectory)

 [trainer2@ftz trainer2]$ rmdir linuxer

 [trainer2@ftz trainer2]$ ls 

  t4.txt    t5.txt    t6.txt    t7.txt    t8.txt    t9.txt    tmp



 cp 파일1 파일2 : 파일1을 파일2라는 이름으로 복사하는 명령어

 [trainer2@ftz trainer2]$ cp 복사원본 복사사본

 [trainer2@ftz trainer2]$ ls 

  t4.txt    t5.txt    t6.txt    t7.txt    t8.txt    t9.txt    tmp  복사원본  복사 사본



 rm (삭제하고자 하는 파일 이름) : 파일을 삭제하는 명령어 

 [trainer2@ftz trainer2]$ rm 복사사본

 [trainer2@ftz trainer2]$ ls 

  t4.txt    t5.txt    t6.txt    t7.txt    t8.txt    t9.txt    tmp  복사원본



 mv 파일1 파일2 : 파일1을 잘라내어 파일2로 붙여넣는 명령어 (파일의 이름을 변경할 때 많이 쓰임)

 [trainer2@ftz trainer2]$ mv t4.txt t10.txt

 [trainer2@ftz trainer2]$ ls 

  t5.txt    t6.txt    t7.txt    t8.txt    t9.txt   t10.txt   tmp  복사원본





>> trainer2 정리

    ♬ pwd : 현재 있는 경로 출력

    ♬ cd .. : 상위 경로로 이동 (한 단계 위)

    ♬ cd 디렉토리 이름 : 하위 경로로 이동 (한 단계 밑)

    ♬ cd / : 최상위 경로로 이동

    ♬ mkdir (만들고자 하는 디렉토리 이름) 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드는 명령어 (MaKDIRectory)
    ♬ rmdir (삭제하고자 하는 디렉토리 이름)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 (ReMove DIRectory)

    ♬ cp 파일1 파일2 : 파일1을 파일2라는 이름으로 복사하는 명령어

    ♬ rm (삭제하고자 하는 파일 이름) : 파일을 삭제하는 명령어 

    ♬ mv  파일1 파일2 : 파일1을 잘라내어 파일2로 붙여넣는 명령어 (파일의 이름을 변경할 때 많이 쓰임)



'SISS > FTZ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evel 2  (0) 2018.02.17
Level 1  (0) 2018.02.16
FTZ Trainer 8 - 10  (0) 2018.02.10
FTZ Trainer 6, 7  (0) 2018.02.10
FTZ Trainer 3 - 5  (0) 2018.02.08